[세무]01. 알아두면 좋은 기본적인 세금 필수 용어
본문 바로가기
경영/세무의 이해

[세무]01. 알아두면 좋은 기본적인 세금 필수 용어

by 삼봉님 2022. 5. 12.
반응형

 

어른이 되는 너에게 알려주고 싶은 5억개의 사실 중 하나, 세금

 

과거 유행하던 자기계발서의 제목에는 유행이 있었다.

스무살이 되는 너에게 알려주고 싶은 ~

사회로 나아가는 딸에게 가르쳐 줄 ~

어른이 되는 너에게 전수해 줄 ~

 

많이도 읽었었는데 그 나이가 돼서 돌아보니 기억나는건 아무것도 없다.

 

한 가지 확실한건 나라면 분명 '세금'은 알려주고 싶다.


얼마 전, 한 건축가가 문명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문명의 필요조건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문자'와 '종이'라고 했다.

그 이유는 그 두 가지가 있어야 세금을 거둬들일 수 있기 때문이라는 논리였다.

하나의 국가가 문명이라고 불리울만한 차별화된 힘을 가지려면 세금을 거둬야 가능하다는 골자이다.

 

 

사실 예전에는 세금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조금씩 시간이 지나고 경험이 늘어날수록 세금은 참 어렵고 무서운 존재라는 것을 새삼 느낀다.


소위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일반인들도 기본적인 용어는 알아두고 있어야 소위 호구를 당하지 않는다.

 

돈과 관련된 대화에 대해서 '어..? 그게 뭐죠? 0_0'라고 대응한다면 닳고 닳은 그들은 우리를 초원 위에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는 여린 가젤 한 마리로 생각하기 쉽다. 어리숙한 초년생에겐 자비란 없다.

 

일단 생각나는 기본적인 용어 30개만 정리해보도록 하자.

 

얼추라도 알고 있는 것은 상당한 도움이 된다.


 

01. 과세주체에 따른 세목의 분류

□ 국세 : 국가가 부과 및 징수하는 조세 - 소득세/법인세/종부세/상속세/증여세/부가세 등

□ 지방세 : 지방자치단체가 부과 및 징수하는 조세 - 취득세 / 등록세 / 주민세 / 재산세 / 자동차세 / 지방소득세 / 주민세 등

 

02. 조세 전가 여부에 따른 세목의 분류

□ 직접세 : 납세자와 담세자가 일치하는 조세 - 소득세/법인세/종합부동산세/상속세/증여세 등

□ 간접세 : 납세자와 담세자가 일치하지 않는 조세 - 부가세/인지세 등

 

03. 원천징수 : 소득지급자가 특정 소득을 지급할 때 그 소득을 지급받는 자로부터 일정한 세액을 징수하여 납부하는 절차

 

04. 가산세 : 세법에서 정한 의무 불이행에 따른 추가 부담세액

 

05. 과세표준 : 세금을 부과함에 있어 그 기준이 되는 것

 

06. 산출세액 : 과세표준에서 세율을 곱해서 나온 금액

 

07. 납부세액 : 당시에 납부해야 할 금액

 

08. 소득공제 : 과세표준을 산출하기 전 과세의 대상이 되는 소득 중 일정금액을 공제하는 것

 

09. 세액공제 : 산출세액에서 일정금액을 공제하는 것

 

10. 세금계산서 :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발행하는 영수증

 

11. 계산서 : 부가가치세가 면세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고 발행하는 영수증

 

12. 비과세 : 애초에 대상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것

 

13. 작성일자 : 재화나 용역이 거래된 공급시기로 기준점이 되는 일자

 

14. 발급일자 :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일자

 

15. 면세 : 재화나 용역의 공급 및 재화의 수입에 대하여 부가가치세 납세의무가 면제되는 것

 

16. 영세율 제도 : 과세되는 재화나 용역의 공급시에 영(0)의 세율을 적용하여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지 않고 공급받을 때 매입세액을 환급하여 주는 제도

 

17. 세무조정 : 회계상 당기순이익과 세법상 사업연도 소득금액 사이의 차이를 조정하는 과정

 

18. 경정청구 : 과다납부한 세액을 바로잡을 것을 요청하는 행위

 

19. 세무서 : 세금의 전반을 관리하는 국가기관

 

20. 세무사 : 개인 및 기업의 세금 업무를 도와주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21. 홈택스 : 국세청에서 운영하는 국세 및 일반 세금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총괄하는 인터넷 사이트

 

22. 위택스 : 지방세용 홈택스

 

23. 기장 : 경제적 사건을 장부에 기록하는 정리하는 행위

 

24. 전자(세금)계산서 : 전자형식을 통해 발행되는 (세금)계산서로 홈택스에서 조회가 가능한 특징

 

25. 종이(세금)계산서 : 수기로 발행되는 (세금)계산서로 홈택스 조회 불가

 

26. 손금 : 세법 상, 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비용

 

27. 손금불산입 : 세법 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비용

 

28. 수입금액 : 경제주체에 유입되는 대가의 합계로 일반적으로 매출액에 해당

 

29. 매입세액공제 : 사업을 위해 사용한 매입 세금 계산서의 부가가치세를 공제받는 것으로, 사업자 및 상품의 유형에 따라 '공제 가능' / '불가능' / '안분계산하여 공제 가능'

 

30. 법정지출증빙(적격증빙) : (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신용카드매출전표 등이 해당되며 다른 영수증은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특징이 있음.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