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권금리4 금리 모니터링 방법 : 한국은행 기준금리, 채권금리, 예금대출금리 조회 가이드 한국은행 기준금리정의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조회화면https://ecos.bok.or.kr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테마별 통계 → 100대 통계지표 → 시장금리 → 한국은행 기준금리내용채권, 대출금 등의 다양한 금리를 결정하는데 기준점이 되는 지표1년에 8회 개최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기준금리 결정 (3,6,9,12월 미개최)채권금리정의채권 유통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종류별 만기별 채권의 금리조회화면https://kofiabond.or.kr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시가평가 → 채권시가평가기준수익률 → 평가기관 선택내용채권 종류별 금리 현황을 통해 채권 간 스프레드 산출 가능만기별 금리 현황을 통해 채권의 수익률 곡선 확인 가.. 2024. 9. 27. [채권]01.금융의 근본, 채권의 기본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채권이 뭐야? 채권(Bond) 발행자가 보유자(투자자)에게 정해진 일자에 정해진 금액을 지급할 것을 약속한 채무증권 간단히 말해, 돈을 빌려주고 받을 것을 약정받는 약속이라고 보면 된다. 금융은 당최 자금의 융통으로 남는 돈을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주고 그 대가를 수취하는 계약으로, 채권 역시 금융의 한 가지 방법인 셈이다.(그것도 아주 규모도 크고 전적으로 시장원리에 입각한 방법. 완전경쟁시장 수준의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누가 채권을 발행하는데? 자금이 필요한 경제주체는 자금을 수취하는 대가로 추후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겠다고 약정한 계약서의 일종인 채권을 발행한다. 채권의 발행자는 일반적으로 정부, 지자체, 금융회사, 기업 등이 있다. 자금을 대량으로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하므로 발행 주체 역.. 2022. 11. 22. [경제지표_금리]03. 채권만기, 장단기 금리차가 중요한 이유 [2021.06.09. 작성][금리의 이해]03. 채권만기, 장/단기의 차이가 중요한 이유수익률 곡선 채권의 만기수익률과 만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수익률 곡선.일반적인 수익률 곡선이와 같은 형태를 띄는 이유를 주로 세개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첫째, 순수기대 가설장기채권금리는 현재의 단기채권의 금리와 미래에 예상되는 단기채권금리의 평균과 같다.예를 들어, 현재 1년 국고채금리가 2%이고 1년 뒤의 1년 국고채금리가 3%라고 가정하면,현재 2년의 국고채금리는 그 평균인 2.5%가 된다.즉, 현재 장기채권금리가 높다는 것은 N년 뒤 시점에서 단기채권금리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둘째, 유동성프리미엄 가설장기채권금리는 위 순수기대 가설에 유동성프리미엄을 부여한 금리가 된다.예를 들어,.. 2022. 5. 16. [경제지표_금리]02. 채권금리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2021. 05. 31. 작성] 채권금리가 뭔가요. 채권수익률이라고도 하는데 사전적 정의는'채권수익률은 채권투자에서 만기까지 얻게 되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채권의 시장가격을 일치시켜주는 할인율'이라고 한다.'채권가격'과 '채권수익률'은 음(-)의 관계를 갖는다.그 이유는먼저 채권이 처음 발행될때 채권은 액면에 금리(수익률)가 고정돼서 발행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그리고 추후의 채권 가격은 채권 유통시장의 매수자와 매도자에 의해서 정해진다.유통시장에서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가격이 오른다.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이유는 기존 발행되었던 채권의 금리(수익률)가 매력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즉, 미래의 발행될 채권의 액면이자율이 낮아질거라 예상하는 것이다.채권가격과 채권수익률과의 관계만기.. 2022. 5.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