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비자물가지수2 [경제지표_물가]02.코로나 이후 물가 변동 추이 및 물가 변동의 변수들에 대해 알아보자! 코로나가 시작된지 2년이 훌쩍 지났다. 단순히 해프닝으로 끝날것 같던 전염병 소동은 우리에게 많은 상처와 교훈을 남겼다. 그 여파는 비단 사회뿐만 아니라 경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표적으로 최근 펜데믹의 후유증으로 손꼽는 지속적인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 문제이다.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 19년 11월(코로나 발발) 이후 물가관련 경제지표 추이 앞 선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물가지수 중 하나인 PPI의 경우, 20년 11월부터 본격적인 상승이 시작된 것을 볼 수 있다. CPI 역시 20년 12월부터 눈에 띄는 지수 상승을 보여준다. 수입물품의 가격을 나타내는 수입물가지수 역시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낸다. 부동산 대표지수 중에 하나인 주택매매가격지수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모.. 2022. 6. 15. [경제지표_물가]01.물가의 기본개념을 알아보자! 근데 음울한 이야기를 곁들인... 호봉이 승급되었다. 월급 5만원이 늘었다. 큰 금액은 아니지만 작년보다 월 5만원 더 생활비를 쓸 수 있어 다행이다. 작지만 어제보다 나은 내일은 꿈꾸며 무한 긍정딥러닝을 돌린다. 어라? 보다 윤택해질 것만 같았던 나의 소비생활은 예상과는 다른 곳으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작년 말, 5만원만 채워줘도 배부르다며 흡족해하던 나의 붕붕이는 이제 불과 2주일만에 연신 계기판에 빨간 불 켜대며 성을 내고 있고 퇴근 후 동생과의 한 잔할 때면 식탁에 오르던 안주는 이젠 노릇하게 구워진 삼겹살이 아니라 양파와 양배추를 가득 넣은 앞다리살 제육볶음이다. 5만원 더 쓸 수 있는데 왜 이렇게 된거지? 무심코 지나갔던 네이버 메인뉴스 머릿말이 기억난다. 'KDI 2022년 물가상승률을 4%대로 예상' 물가가 오르고 있단다... 2022. 5.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