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은행주5 [은행주 분석] 07. 은행주 매도를 위한 시나리오별 대응전략 들어가기 가치투자의 귀재이자 이시대의 최고의 투자자인 워렌버핏은 무지몽매한 주주들에게 전했던 조언이 하나 있다.'내 가족에게 단 하나의 종목을 추천한다면 단연 S&P500면 충분하다.' 만약 워렌버핏옹이 미국이 아닌 한국에서 투자를 하셨다면 '단연 코스피200 하나면 충분하다.'고 하셨을까...? 국장 투자경력 6년 동안 다양한 경제상황을 경험했다. 제로금리 시대, 코로나19, 부동산 폭등, 자이언트스텝, 1400원 환율, 하이퍼 인플레이션 등 이 사건들이 6년 동안 일어날 수 있는 일인가 의문이 들 정도로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그때 그때마다의 이슈들과 논쟁들이 있었고 교훈을 깨달으며 성장했다. 많은 교훈을 얻었지만 그 중 뼈저리게 느끼는 하나가 있다. '대한민국 주식을 하려거든 기회를 줄때 팔아라.. 2024. 7. 20. [은행주 분석]06.은행주의 가치를 결정하는 7가지 요인들 들어가기 처음 주식투자에 입문하고서 가장 많은 시간동안 고민하고 공부했던 산업이 은행쪽이다. 아무래도 관련 업종에서 일하고 있다보니 보이는 것도 보게되는 것도 많을 수 밖에 없다. 약 7년간 해당 산업을 바라보고 해당 산업에 속한 종목이 가진 종목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어떤 요인들이 작용하는지 정리 및 소개해보고자 한다. 내가 알아보고자 하는 요인들은 크게 7가지이다. ① 금리 ② 환율 ③ 배당 ④ 연체 ⑤ 부동산 경기 ⑥ 대손충당금 적립 또는 환입 ⑦ 신규 경쟁자 금리 은행의 전통적인 수익구조이자 손익측면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순이자마진(NIM)은 금리에 의해 결정된다. 금리가 높아지거나 높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은행의 손익이 개선되는 경향이 높고 금리가 낮아지거나 낮은 경우에는 그 반대의 경향.. 2024. 6. 26. [은행주 산업분석] 05.경영실적(IR)을 통해 알아본 은행 건전성 지표(NPL비율, NPL커버리지비율, CCR비율) NPL비율(=NPL채권금액(고정이하여신) / 총 여신금액) NPL(Non Profit Loan, 무수익여신)은 손실 예상되는 부실채권으로 금융업은 통상 건전성 분류에 따라 고정이하로 분류되는 채권을 일컫는다. [ 건전성 분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도움자료 ]2022.05.28 - [투자/산업분석] - [은행주 산업분석]03.자산건전성을 통해 이해하는 은행의 제무재표 [은행주 산업분석]03.자산건전성을 통해 이해하는 은행의 제무재표이전 포스팅(대손충당금관련)에서 자산건전성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한 바가 있다. 자산건전성을 분류함에 따라 대손충당금의 적립금액이 결정되고 결과적으로 당기손익에 연결된다는 골자의senstintell.tistory.com 정리하자면, NPL비율이 높을수록 전체 대출채권 중 부실채권.. 2023. 8. 31. [은행주 산업분석]04.은행주는 왜 만년 저평가라고 할까? 모든 투자지표가 투자하라고 하지만 사지 않는 주식이 있다?! 주식투자를 처음 시작하게 되면 PER, PBR, ROI, ROE 등의 투자지표를 들어보게 된다. '음... PER,PBR이 낮고 ROI,ROE가 높은 주식을 사면 되겠네!' 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접근을 통해서 투자 산업 및 종목을 찾아보면 나오는 산업이 있다. 바로 은행주이다. 은행ETF의 5년간 가격 추이를 보도록 하자. 최근 연초에 은행주가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5년 전 그것의 가격보다 낮다. 자산 성장률도 손익지표 성장률도 다 좋은데 왜 은행주는 오르지 않은 것인가? 은행주가 다른 종목에 비해 홀대받는 이유는? 첫번째, 은행은 미래가 없는 산업이기 때문이다. 은행이 미래가 없다는 논리에 대해 반문할 수도 있다. 수 십년 수.. 2023. 2. 7. [은행주 산업분석]01. 은행 수익의 원천 NIM(순이자마진) 알아보기 || 은행업의 주요 수익성지표, NIM 은행업의 주요 수익원천은 소위 말하는 이자놀이에 의해 기인된다. 'N%'의 이자를 주고 자금을 조달하고 대출을 받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N+a'%의 이자로 자금을 운용한다. 여기서 a%만큼의 차익이 발생되는데 이를 예대마진이라고 한다. 그 예대마진을 자산으로 나눈 값을 순이자마진(NIM, Net Interest Margin)이라고 한다. □ 순이자마진 = (자산 운용수익 - 부채 조달비용) / 운용자산 || 도대체 얼마나 중요하길래? 대한민국 대표 은행주인 KB금융의 손익현황을 보면 이자관련하여 발생한 순이자이익이 전체 매출총이익의 78%이다. (최근 은행권이 수익원의 다양화를 위해 소위 비이자이익이라는 다른 원천의 중요성을 이야기하지만 순이자이익과 비교하면 영향력.. 2022. 5.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