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금융 일반'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금융 일반2

[리스크]02.PD(Probability of Default) 완벽 가이드: 정의, 산출, 분류, 활용 PD(Probability of Default) 완벽 가이드: 정의, 산출, 분류, 활용 PD의 정의PD란? PD는 특정 기간(일반적으로 1년) 내에 차주가 원리금 상환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확률을 의미합니다. 즉, "이 차주에게 돈을 빌려주면 n% 확률로 부도가 발생한다"는 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부도의 기준 바젤 기준상 ‘90일 이상 원리금 연체’ 또는 ‘차주/담보물에 중대한 권리침해 발생’ 등이 부도(디폴트)로 간주됩니다.PD 산출 방법과거 통계 데이터 활용해당 신용등급 내 실제 부도 차주 수를 전체 차주 수로 나누어 산출합니다.PD = (해당 등급 내 부도 차주 수) / (해당 등급 내 전체 차주 수)신용평가 모형 활용로지스틱 회귀분석이나 선형 회귀분석 등 통계적 기법을 사용합니다.소득, 신용.. 2025. 4. 22.
[리스크] 01.금융기관의 신용리스크 이해와 관리 : PD, LGD, EaD 개념 정리 정의 : 거래상대방이 계약조건에 의한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여 입는 경제적 손실위험. 즉, 돈 안 갚을 위험. 금융기관의 가장 전통적인 위험.   측정 및 분류 개괄 ○ 측정대상신용리스크에 노출되는 자산(떼 먹힐 수 있는)이 대상이 되며 예를 들어, 대출금, 예치금, 유가증권, 외상매출금 등일부 신용리스크에 노출될 위험이 없는 자산은 측정 대상에서 제외(ex)업무용토지, 무형자산 등)  ○ 분류차주의 유형에 따라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신용등급에 따라 1등급 ~ 10등급담보종류에 따라 보증서, 부동산(주택, 근린상가, 농지 등), 신용 등   리스크 측정요소 - PD(Proability of Defualt, 부도율)차주가 일정시점 후, 부도가 발생할 확률로 일반적으로 차주의 신용등급에 의한 통계적 추정치로.. 2024. 7. 22.
반응형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