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09. 작성]
[금리의 이해]03. 채권만기, 장/단기의 차이가 중요한 이유
수익률 곡선
채권의 만기수익률과 만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수익률 곡선.

일반적인 수익률 곡선
이와 같은 형태를 띄는 이유를 주로 세개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순수기대 가설
장기채권금리는 현재의 단기채권의 금리와 미래에 예상되는 단기채권금리의 평균과 같다.
예를 들어, 현재 1년 국고채금리가 2%이고 1년 뒤의 1년 국고채금리가 3%라고 가정하면,
현재 2년의 국고채금리는 그 평균인 2.5%가 된다.
즉, 현재 장기채권금리가 높다는 것은 N년 뒤 시점에서 단기채권금리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
둘째, 유동성프리미엄 가설
장기채권금리는 위 순수기대 가설에 유동성프리미엄을 부여한 금리가 된다.
예를 들어, 1년물 채권은 1년 뒤에 현금화할 수 있지만 10년물 채권은 10년 뒤에나 현금화할 수 있다.
그만큼의 보상을 채권금리에 부여해야 하는데 그것을 유동성프리미엄이라고 한다.
셋째, 시장분할가설
채권은 시장의 수요자와 공급자에 의해서 결정된다.
수요자나 공급자는 특정만기의 채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채권금리는 특정만기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보험회사의 경우 자산의 금리를 장기로 가져갈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보험금(부채, 나중에 줘야할 돈)을 지급을 하는 시점이 비교적 길기 떄문이다.
보험사는 금리변동에 따른 손익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만기가 긴 자산을 선호하며 이는 시장에 반영된다.
그런데 시장에 만기가 긴 자산을 공급하는 사람이 없다면 채권의 가격은 상승하고 채권금리는 낮아지게 된다.
채권금리는 일반적으로 우상향하는 그래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라는 말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의미이다.
만기가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채권금리가 우상향하지 않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가정해볼 수 있다.
유동성 프리미엄을 부여함에도
채무불이행리스크 프리미엄을 부여함에도
추후에 채권금리가 매력적이지 않다.
음(-)의 장단기금리차가 발생했던 사례
앞 서 언급한 대로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채권의 만기는 채권금리와 우상향의 관계를 갖는다.
그렇다면 지금껏 장기채권의 금리가 단기채권의 금리보다 낮았던 경우는 언제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장기채권은 미국 국고채 10년, 단기채권은 미국 국고채 6개월 기준)

미국 국고채 장단기금리차(10년 - 6개월)
전 포스팅에서 경기침체에 신호로 채권금리가 급락한다고 설명했다.
장단기금리차가 역전되는 시기도 이와 비슷하거나 약간 앞서있는 경향이 있다.
앞서 언급한대로 장단금리차는 미래의 채권금리가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다는 기대감이 투영된 결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채권의 장단기금리차가 발생한 시점은
IT버블 / 세계금융위기 / 코로나펜데믹 시기와 같거나 이전 시점이다.
채권의 장단기 금리차가 발생한다면 이는 경기침체 또는 위기의 신호이다.
최근 장단기 채권금리 해석

미국 국고채 6개월, 5년, 10년
코로나 펜데믹으로 채권금리가 급락했던 20년1분기 이후 1년 만에
최근 미국의 백신접종이 늘면서 경기회복 기대감에 채권금리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재미있는 부분은 채권 만기기간별 그래프의 모양새이다.
5년과 10년물의 경우, 채권금리가 상승하는 뚜렷한 추세를 보인다.
그러나, 6개월물은 수준유지 또는 오히려 소폭하락의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6개월 내, 경기회복의 가능성은 적으나 추후에는 충분히 회복이 기대된다.
로 해석할 수 있다.
채권시장의 수 많은 똑똑한 시장참여자들은 이렇게 생각했다.
6개월 가시적인 회복세는 어렵다.
그러나 그 이후에 충분한 회복 및 성장이 기대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시그널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
'경제 > 경제지표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지표_금리]06.금리를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한국은행 / 금융투자협회 / 은행연합회 / 금융감독원) (0) | 2022.05.16 |
---|---|
[경제지표_금리]05.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는 이유 (0) | 2022.05.16 |
[경제지표_금리]04. 채권금리 변화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_대출금 편(고정금리/변동금리) (0) | 2022.05.16 |
[경제지표_금리]02. 채권금리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0) | 2022.05.16 |
[경제지표_금리]01. 기준금리 부록설명, 인상 가능성 언급의 의미 (0)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