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25. 작성]
[금리의 이해]06.금리를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
금리, 지금 너 어디에 있니?
이번 [금리의 이해]시리즈를 포스팅하면서
경제에 있어서 금리의 중요성을 많이 언급했다.
현재 경제수준 / 미래의 경제수준 / 이자의 증감 등
수 많은 영역에서 금리는 판단의 바로미터 기능을 한다.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오듯이 금리는 우리에게 신호를 보낸다.
우리는 그 신호를 캐치하고 합리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그런데 정작 그 신호는 어디서 확인할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다양한 금리(기준금리 등)뿐만 아니라
물가, 유동성지표, 경제성장률, 예수금/대출금 규모 등 다양한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웬만한 경제지표들은 여기서 다 확인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특히 좋은 점은
챠트를 통한 지표의 시계열 표현이 직관적이고
타 지표와의 비교도 수월하고
엑셀화를 통해 데이터의 재가공도 가능하고
오픈API도 활용할 수 있다.
(어차피 난 어떻게 하는 줄도 모르지만)
가장 기본적이면서 강력하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채권에 특화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국채부터 통안채, 회사채, 금융채 등 다양한 채권 유통시장/발행시장 정보부터
단기금융시장, 신용등급 정보 또한 제공한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사실 일반인들이 가장 필요한 사이트이지 아닐까 싶다.
은행별 예적금금리 / 대출금리 / 상품수익률 / 은행수수료 등 실생활에 집적적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편리한 UI와 쉬운 설명으로 소비자의 접근편의성을 높혔다.
만약 나의 주거래은행이 없거나 조금이라도 더 많은 이자수익을 기대한다면 위 사이트에서
일정의 조건을 입력하고 산출된 결과값 중 좀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금융기관을 선택하면 된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금융상품 한눈에)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과 비슷한 유형이며 역시 금융기관의 상품별 금리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참고로,
보험탭을 타고 들어가면
온라인 보험슈퍼마켓, 보험다모아
로 들어갈 수 있다.
요즘은 실손의료보험이나 자동자보험같은 경우는 다이렉트로 가입하기 쉬운 시대이니까
해당 사이트에서 동일 보장항목으로 기준 설정 후, 가장 저렴한 보험료의 보험상품을 가입하는 것도 좋다.
(단, 보험사의 서비스는 단순 보험료로 설명할 수 없으므로 충분히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
1. 금리는 중요한 경제지표이다.
2. 금리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시장의 변화를 감지하기 좋다.
3.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은 대장 느낌이다.
4. 채권에 특화되어 알고 싶다면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5. 금융상품들을 비교하기 위해선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및 금융상품한눈에
'경제 > 경제지표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지표_물가]01.물가의 기본개념을 알아보자! 근데 음울한 이야기를 곁들인... (0) | 2022.05.31 |
---|---|
[키워드]빅스텝, 자이언트스텝 뜻과 의미 (0) | 2022.05.17 |
[경제지표_금리]05.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는 이유 (0) | 2022.05.16 |
[경제지표_금리]04. 채권금리 변화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_대출금 편(고정금리/변동금리) (0) | 2022.05.16 |
[경제지표_금리]03. 채권만기, 장단기 금리차가 중요한 이유 (0)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