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_환율]01.환율의 기본개념을 알아보자!
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일반

[경제지표_환율]01.환율의 기본개념을 알아보자!

by 삼봉님 2022. 8. 8.
반응형

@미리캔버스


|| 환율(Exchange Rate)의 정의

한 나라의 화폐와 외국 화폐의 교환 비율.
외화 1단위와 교환되는 원화의 양.
원달러환율이 1,000원이라고 한다면 1달러를 얻기 위해서 1,000원을 지불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환율이 변동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알아봅시다.
원달러환율이 1,000원에서 1,500원으로 올랐다고 한다면, 과거 1달러를 얻기 위해서 1,000원을 지불했다면 이제는 1,500원을 지불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1,000원에서 500원으로 떨어졌다고 한다면, 과거 1달러를 얻기 위해서 1,000원을 지불했다면 이제는 500원만 지불해도 된다는 의미입니다.


|| 환율(Exchange Rate)의 결정원리
일반적으로 환율 또한 화폐에 대한 가격이므로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정해집니다.
이를 변동환율제도라고 합니다. 시장원리에 의해 환율이 정해진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고정환율제도도 있습니다.
애초에 환율을 고정하거나 시장원리에 따라 변동하더라도 그 변동을 고정하거나 폭을 제한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시장 변동에 따른 리스크 가능성을 줄이는 순기능이 있지만 시장의 가격조정기능을 제한하므로 시장경제체제에서의 대부분은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환율 변동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외국인들이 한국에 여행을 많이 오고자 한다면 원화에 대한 수요가 올라갑니다.
외국인들이 삼성전자의 발전 가능성을 보고 주식을 사려고 한다면 이 또한 원화에 대한 수요가 올라갑니다.
이렇게 원화의 수요가 올라가면 원화의 가격은 올라가게 되는 것이 시장원리입니다.
결과적으로 원화는 상대적으로 귀해질 것이고 한국에서 1달러를 얻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원화는 줄어들겁니다.
이를 환율이 낮아졌다고 말합니다.
곧 원달러(USD/KRW)환율이 낮아졌다는 것은 원화의 가치가 높아졌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한국인들이 외국에 많이가거나 자금이 외화자산으로 이전하는 경향이 커진다면 외화에 대한 수요가 올라갑니다.
결과적으로 환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상대적으로 원화의 가치는 줄어들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 환율(Exchange Rate)과의 영향
□ 환율이 수입과 수출에 미치는 영향
  ○ 환율이 높을 때(자국의 화폐가치가 낮을 때)
    - 수입국 : 기존보다 많은 원화를 주고 달러를 사서 상품을 가져와야 하므로 손해!
    - 수출국 : 국제시장에서 달러로 환산했을때 우리가 만든 상품이 저렴해 가격경쟁력을 가지므로 이득!
  ○ 환율이 낮을 때(자국의 화폐가치가 높을 때)
    - 수입국 : 기존보다 적은 원화를 주고 달러를 사서 상품을 가져오므로 이득!
    - 수출국 : 국제시장에서 달러로 환산했을때 우리가 만든 상품이 비싸 가격경쟁력에서 비교열위를 가지므로 손해!

□ 금리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 상대적으로 외국의 금리가 높아질 때(외국 금융자산의 수익성이 높아질 때)
    - 국내에 있던 자금이 외국으로 이전되므로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
  ○ 상대적으로 외국의 금리가 낮아질 때(외국 금융자산의 수익성이 낮아질 때)
    - 국외에 있던 자금이 국내로 이전되므로 환율 하락(원화 가치 상승)

□ 환율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
  ○ 환율이 높아질 때(자국의 화폐가치가 낮아질 때)
    - 외국인의 환차손(환율변동에 따른 손해)를 막기 위해 자금 이탈 → 증시 악화
  ○ 환율이 낮아질 때(자국의 화폐가치가 높아질 때)
    - 외국인의 환차익(환율변동에 따른 이익)을 위해 자금 유입 → 증시 개선

실제로 환율과 외국인의 코스피 순매수(매수-매도) 거래대금간의 상관관계를 데이터 분석해본 결과
'-0.45'의 상관계수(두 종류의 변량간의 직선적인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0.45의 상관계수는 통계학 관점에서 강력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3개년 환율과 외국인 순매수 데이터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백만원, %)

  2020.11. 2021.01. 2021.07. 2021.08. 2021.12. 2022.04. 2022.06.
원달러
환율
(USD
/KRW)
변동률
-2.56 2.76 2.13 0.87 0.08 3.63 4.93
외국인
순매수
4,993,825 -5,299,640 -5,109,383 -6,256,566 3,398,687 -4,942,682 -5,581,619

( 출처 :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

일부 눈에 띄는 일부 데이터만 선별한 표이지만 환율의 변동이 크게 발생할때에는 유의미한 외국 자금의 유/출입이 확인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외국인 순매수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공통점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그렇다면 외국인 보유율이 높은 종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LG생활건강우
2. 동양생명
3. S-OIL
4. 쌍용차
5. 삼성전자우
6. 락앤락
7. 새론오토모티브
8. 하나금융지주
9. KB금융
10. LG화학우
등이 있다.

만약 내가 보유 또는 관심있는 종목의 외국인 보유율이 높다면 환율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환율 현황 조회 방법
□ 네이버금융 환율 검색
https://finance.naver.com/marketindex/?tabSel=exchange#tab_section

□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https://ecos.bok.or.kr/#/SearchStat

□ 각 은행 홈페이지 환율 조회
국민 : www.kbstar.com
신한 : www.shinhan.com
하나 : www.kebhana.com
우리 : www.wooribank.com
농협 : www.nhbank.com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