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분석 실습]01-1. 건설업, GS건설 재무상태표 분석
본문 바로가기
경영/재무의 이해

[재무분석 실습]01-1. 건설업, GS건설 재무상태표 분석

by 삼봉님 2023. 6. 26.
반응형

재무상태표는 전자공시시스템(www.dart.fss.or.kr) 및 네이버 증권(www.finance.naver.com)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활용합니다.

 

2022년 GS 건설 재무상태표

구  분 제54기 제53기 제52기
(2022년 12월말) (2021년 12월말) (2020년 12월말)
[유동자산] 9,411,595 8,195,112 7,251,910
ㆍ현금및현금성자산 2,023,701 2,718,390 2,118,919
ㆍ매출채권및기타채권 3,251,679 2,200,132 1,957,065
ㆍ계약자산 1,555,865 960,336 1,023,757
ㆍ재고자산 1,499,922 1,477,100 1,430,061
ㆍ단기금융자산 582,067 395,042 257,870
ㆍ기타유동자산 498,361 444,112 464,238
[비유동자산] 7,535,022 6,988,615 6,518,768
ㆍ유형자산 1,819,806 1,543,377 1,426,774
ㆍ무형자산 888,334 680,391 744,305
ㆍ투자부동산 926,375 1,096,940 1,021,872
ㆍ사용권자산 291,723 295,725 411,820
ㆍ관계회사지분증권 230,772 172,991 101,687
ㆍ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1,204,451 1,195,973 866,621
ㆍ장기금융자산 713,678 600,464 616,806
ㆍ순확정급여자산 97,469 45,705 -
ㆍ이연법인세자산 960,552 949,180 962,406
ㆍ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273,951 250,735 249,466
ㆍ기타비유동자산 127,911 157,134 117,011
자산총계 16,946,617 15,183,727 13,770,678
[유동부채] 8,205,471 6,769,327 5,728,862
[비유동부채] 3,384,943 3,541,676 3,729,700
부채총계 11,590,414 10,311,003 9,458,562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4,831,633 4,625,316 4,141,219
ㆍ자본금 427,907 427,907 403,541
ㆍ자본잉여금 942,699 951,257 815,676
ㆍ기타자본 (36,807) (36,801) (36,716)
ㆍ기타포괄손익누계액 (161,984) (122,760) (117,392)
ㆍ이익잉여금 3,659,818 3,405,713 3,076,110
[비지배지분] 524,570 247,408 170,897
자본총계 5,356,203 4,872,724 4,312,116
  2022.01.01~2022.12.31 2021.01.01~2021.12.31 2020.01.01~2020.12.31
매출액 12,299,196 9,036,575 10,122,931
영업이익(손실) 554,835 646,486 750,398
당기순이익(손실) 441,212 428,803 329,676
지배지분당기순이익(손실) 339,274 408,477 311,695
기본주당이익(손실) (원) 3,997 4,834 3,919
희석주당이익(손실) (원) 3,997 4,815 3,814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106 97 83

 

주요 재무비율 및 해석

□ 부채비율 ( = 총 부채 / 총 자본 × 100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17.91 219.35 211.61 216.39

: 200% 이상대 유지 중으로 최근 4개년동안 큰 변동 없음.

 

□ 자기자본 순이익률 (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ROE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1.79 7.68 9.32 7.17

: 자기자본 순이익률의 유의미한 감소. 당기순이익은 증가하였으나 자기자본의 성장률보다 낮아 해당 지표 악화

 

□ 총자산 순이익률 (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ROA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55 2.45 2.96 2.75

: 총자산 순이익률의 유의미한 감소. 이유 상동.

 

 

기타 주요 항목별 분석

총 차입금 비중에 있어 단기차입금융부채의 비중이 유의미하게 증가

 

순 차입금(차입금-현금 및 현금성 금융자산)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으로 미뤄보아 단기적인 자금 확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 유동성 측면에서 상대적 악화

 

유동성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순 차입금이 늘어난 상황과 연계해봤을때 유의미한 해석 가능

 

 차입구조(단기성 차입금과 장기성 차입금간의 비중)를 살펴보면, 단기 차입금이 늘어나고 장기 차입금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음. 차입금 만기 상환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짐.

 

□ 총 자산 중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비중이 유의미하게 증가함. 원인은 공사미수금이 크게 계상되어 있는 상태로 부동산 경기상태 및 대금지급 여부 등과 연계하여 고려할 필요 있음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