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01.금융기관의 신용리스크 이해와 관리 : PD, LGD, EaD 개념 정리
본문 바로가기
금융/금융 일반

[리스크] 01.금융기관의 신용리스크 이해와 관리 : PD, LGD, EaD 개념 정리

by 삼봉님 2024. 7. 22.
반응형

신용리스크

 

정의

: 거래상대방이 계약조건에 의한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여 입는 경제적 손실위험. 즉, 돈 안 갚을 위험. 금융기관의 가장 전통적인 위험.

 

 

측정 및 분류 개괄

 ○ 측정대상

신용리스크에 노출되는 자산(떼 먹힐 수 있는)이 대상이 되며 예를 들어, 대출금, 예치금, 유가증권, 외상매출금 등

일부 신용리스크에 노출될 위험이 없는 자산은 측정 대상에서 제외(ex)업무용토지, 무형자산 등)

 

 ○ 분류

차주의 유형에 따라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신용등급에 따라 1등급 ~ 10등급

담보종류에 따라 보증서, 부동산(주택, 근린상가, 농지 등), 신용 등

 

 

리스크 측정요소

 - PD(Proability of Defualt, 부도율)

차주가 일정시점 후, 부도가 발생할 확률로 일반적으로 차주의 신용등급에 의한 통계적 추정치로 결정

차주의 구분은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신용등급(신용점수) 산출은 신용평가기관(NICE, KCB 등)이나 금융기관 자체 신용평점모형에 따라 산출할 수 있음

신용등급별로 N%의 부도율을 설정해놓을 수 있음

 

 - LGD(Loss Given of Defult, 부도시손실율)

부도 후 금융회사에 발생하는 실질적 손실을 의미하며 회수에 필요한 비용(담보권 실행 비용 등)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산출

담보의 종류 및 지역 그리고 담보인정비율(LTV) 등을 고려하여 산출

예를들어, 상가보다 주거용 부동산이 상대적으로 부도가 나더라도 손실이 적고 같은 주거용 부동산이라고 하더라도 하급지보다 상급지의 손실이 적으니 이를 통계적으로 추정하여 LGD를 계산

담보물건의 지리요인(소재지), 유형, LTV 등을 고려하여 LGD(부도시손실율)을 특정할 수 있음

 

 - EaD(Exposure at Default, 부도시익스포저) 

부도시 손실 위험에 노출되는 잔액 추정치. 예를 들어 정상시점대비 부도시점에 미사용 한도 잔액이 증가할 것을 고려하여 익스포저 산출

부도가 날 사람이라고 하면 자신의 미사용한도(예를 들어, 마이너스 통장)를 채워서 쓸 가능성이 높으니 실제 부도처리하는 시점에는 현재보다 높은 손실대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반영한 데이터

 

 - EL(Expected Loss, 예상손실)

신용리스크에 대한 부도 등의 사건이 발생했을때 예상이 가능한 손실을 의미하며 대손충당금 적립을 통해 해당 리스크를 보완한다. EL은 PD × LGD × EaD로 계산된다. 

첨언하자면, 충당금 적립을 규제의 관점으로 건전성 분류(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별 충당금 요적립액 차등 적립)를 통해 적정 대손충당금의 적립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도 있다. 

 

 - UL(Unexpected Loss, 미예상손실)

신용리스크에 대한 부도 등의 사건이 발생했을때 예상이 어려운 잠재적인 손실을 의미하며 자기자본을 위해 리스크를 보완한다. EaD × 위험가중치함수(K) × 12.5로 계산된 위험가중자산에 일정비율(8%)로 계산된다.

 

 

리스크분석과 손실 계산 사례

  예상손실 미예상손실 손실 합계액
  잔액 EaD PD LGD 예상손실액 f(k) 미예상손실액
A대출금 200 210 3% 40% 2.5 생략 1.3 3.8
B대출금 450 470 1% 30% 1.4 0.7 2.1
C대출금 500 530 2% 10% 1.1 0.6 1.7
D대출금 850 890 5% 50% 22.3 10.1 32.4
합계 2,000 2,100     27.3 12.7 40.0

 

이와 같이 산출된 신용리스크량을 토대로 다양한 신용리스크 변화 추이 및 지표를 산출하여 분석해볼 수 있다.

 

총 손실률 (= 손실 합계액 / EaD)의 절대 수치 및 변화 추이

예상손실액 증감 요인 파악 (주된 변화 요인이 EaD, PD, LGD 어느 것에 의해 변화되었는지)

대손충당금으로 예상손실액의 어느정도를 커버 정도

 

등을 확인해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