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formation
- 한국은행 기준금리 3.00%
- 시장의 예상 밖 연속 인하, 3.25% → 3.00% (25bp인하)
- 경기둔화 가능성에 대한 대응으로 기준금리 인하
- 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1.9%
- 기존 2%대에서 0.2%p 하향 조정
- 내년 1분기 내 추가 인하 가능성 높음
- 트럼프 정부가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선제적으로 반응
- 재정정책 확대 예상으로 장기국채금리 상승
- 관세 확대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증대
- 국내 수출은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세는 둔화
- 향후 경제성장 둔화 가능성 높음
- 수출의 많은 부분이 반도체 또는 자동차에 국한되어 있어 트럼프의 관세 확대정책에 취약
- 환율 상승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요인이나 유가 하락 및 세계 수요 하방압력에 안정 기대
- 물가 상승률은 안정되고 있으나 제한된 경제성장 우려 높음
- 환율 상승 및 높은 변동성 리스크 유의 필요
Opinion
- 시장도 예상치 못한 기준금리 인하의 속내
- 일반적으로 시장금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방향성을 예측하여 결정
-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결정 시 다양한 요인을 합리적으로 반영하면서, 시장에 일관되고 안정적인 방향성을 제시해야 함
- 한국은행은 시장으로의 영향에 따라 의사결정을 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상호 영향 관계를 피하기 어려움
-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매우 선제적이었으며, 평소 민감한 시장조차 예상하지 못한 결정으로 시장에 충격
- 비교적 높은 환율 상황에서도 기준금리를 인하했다는 것은, 향후 경제침체에 대한 한국은행의 우려가 시장의 예상보다 더 크다는 것을 시사
- 중국에 등지고 미국에 붙었더니 팽당하는 형국
- 중국은 자체 반도체 생산을 위해 보조금을 투입하고 있으며, 미국은 관세부과와 중국으로의 수출 금지를 예정하고 있어 반도체 수출에 큰 악재로 작용
-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정책은 동맹국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 원/달러 환율 1,400원대가 새로운 기준이 된 시대
- 2022년 9월에 1,400원을 기록했던 환율이 현재 다시 1,400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음
- 미국의 양호한 물가지표와 고용지표가 경제 호조를 반영하면서 달러화는 여타 통화 대비 강세를 지속 중
- 현재의 고환율은 수출에는 유리하나 수입 비용을 증가시키며, 수출 성장세 둔화 전망과 맞물려 내수 부진과 물가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All Investors leave korea, right now! ( '국가부도의 날' 영화의 오프닝에서 월가의 투자자들이 한국 경제위기를 우려하며 작성한 찌라시 내용 )
- 외국인 순매도 두 달간 진행 중
반응형
'경제 > 경제 모니터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2월 금통위 회의 결과 및 전망, 이것이 우리 수준이다. (1) | 2025.02.27 |
---|---|
25년 1월 금통위 회의 결과 및 전망, 정치리스크가 불러온 여파 (0) | 2025.02.07 |
금리 모니터링 방법 : 한국은행 기준금리, 채권금리, 예금대출금리 조회 가이드 (7) | 2024.09.27 |
24년 9월 FOMC 회의 리뷰 금리 피벗의 시대 빅컷 시작 돈이 몰리는 투자처는 (7) | 2024.09.23 |
[금통위] 24년 8월 금융통화위원회 결과 및 전망 리뷰 (1) | 2024.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