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홀로서기]01. 자료와 자료구조
본문 바로가기
IT/PYTHON(파이썬)

[파이썬 홀로서기]01. 자료와 자료구조

by 삼봉님 2023. 5. 8.
반응형

자료의 종류

□ 숫자형 자료 : 숫자와 관련된 자료와 숫자형 자료를 활용한 사칙연산 등

>>>a = 2
>>>b = 3
>>>c = 0.5


>>> # 더하기
>>> a+b
5

>>> # 빼기
>>> a-c
1.5

>>># 곱하기
>>>a*b
6

>>># 나누기
>>>a/b
0.666

>>># 제곱
>>>a**b
8

>>># 나눗셈 후 나머지 : %
>>># 나눗셈 후 몫 : //

※ #로 시작하는 문장은 주석으로 프로그램에 영향 ×

※ 숫자형 자료의 형태는 정수형(양수,음수,0 / Integer)와 실수형(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 Flating-point)으로 분류

 
문자열(String) 자료 :  문자와 관련 자료와 연산

a = "Hello Python" 
b = '1992' #작은 따옴표로도 문자 표시 가능


>>> a+b
'Hello Python1992'

>>> print(a,b)
Hello Python1992

>>>#문자열 인덱싱이란, 문자열의 특정 부분에 접근, 0부터 시작
>>>a[0] 
'H'

>>>a[1]
'e'

>>>a[-1] #맨뒤의 첫번째 문자
'n'

>>>a[:-2] #맨뒤의 두번째 문자까지 출력
'Hello Pytho'

>>>a="Hello\nPython" # ''' 또는 """ 으로도 사용 가능
>>>print(a)
Hello
Python

>>>len(b) #문자열 길이 구하기
4


  ○ 인덱싱(Indexing) : 원하는 값을 특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함수

>>>a = [1,2,3,4]
>>>print(a[0])
1
>>>print(a[3])
4

  ○ 슬라이싱(Slicing) : 원하는 범위를 특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함수

>>>a = [1,2,3,4]

>>>print(a[0:2])
123 #[0](첫번째)부터 두글자 출력

>>>print(a[1::])
234 #[1](두번째)부터 끝까지 출력

>>>print(a[:3:])
123 #첫번째부터 3글자 출력

print(자료[시작:끝:뛰어쓰기])

  ○ 문자열 포맷팅(Formatting)

>>> print("I have %d phones" %3) #%s는 문자열, %f는 실수형 숫자, 물론 변수형태로도 가능
I have 3 phones 

>>> print("I have {0} phones".format(2)) #format 함수를 활용한 포맷팅
I have 2 phones

 

 객체 변수 : 그 외(숫자형, 문자형)의 자료구조를 담고 있는 변수
 

 

자료형 구조

□ 리스크(List) 자료구조 : 특정한 형태의 자료를 모아 표현할 수 있는 자료구조

a = [1,2,3,4,5]
b = ["Hello", "Python"]

>>> a[0] + a[2]
4

>>> b[0] + b[1]
"Hello Python"

>>> a + a
[1,2,3,4,5,1,2,3,4,5]

>>> a + b
[1,2,3,4,5,"Hello","Python"]

>>> a[0] + b[0]
Type Error #서로 같은 타입이어야 오류없이 수행 가능, a는 숫자형 변수 b는 문자열 변수이므로 사칙연산 불가

>>> a.append(1) #리스트에 변수를 추가하는 함수
>>> a
[1,2,3,4,5,1]

>>> a.sort() # 오름차순으로 정리해주는 함수
>>> a
[1,1,2,3,4,5]

>>> a.reverse()
>>> a
[5,4,3,2,1,1]

 
□ 튜플(Tuple) 자료구조 : 리스트와 유사하나 형식적으로는 대괄호대신 소괄호 사용하며 내용적으로는 수정이 불가

a = (1,) #자료가 하나일때는 쉼표로 마무리
b = (1,2,3,4,5)
c = ("Hello", "Python")
# list의 append, sort, reverse 사용 불가

 
□ 집합(Set) 자료구조 : 집합의 형태를 표현하기 위한 자료구조로 순서가 없고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 a = set([1,1,2,3])
>>>a
{1,2,3}

>>> b = set("Hello")
>>> b
{'H','e','l','o'}

#List나 Tuple 자료구조로 변환 가능, 순서가 없는 집합 자료구조의 경우, 인덱싱이 불가하므로 인덱싱을 위해 변환
>>> list(a)
[1,2,3]

>>> tuple(b)
('o','e','l','h')


□ 불(Bool) 자료구조 : 참/거짓을 나타내는 자료구조

>>> bool1 = True
>>> bool1
True

>>> bool2 = False
>>> bool2
False

# 뒤에 조건문 등을  붙여 사용

 
 
□ 딕셔너리(Dictionary) 자료구조 : 무엇인가를 찾을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자료구조로 키(Key)와 값(Value)를 매핑한 형식

# 딕셔너리 생성하기
dic={"TOP":["나서스","일라오이","다리우스"],"MID":["오리아나","베이가","야스오"],"JUG":["세주아니","오공","아무무"]}

# 딕셔너리 추가하기
dic["SUP"]=["레오나","라칸","노틸러스"]

# 딕셔너리 제거하기
del dic["SUP"]=["레오나","라칸","노틸러스"]

# 딕셔너리 내장 함수
#key값 산출
>>>print(dic.keys())
dict_keys(['TOP','MID','JUG'])

#value값 산출
print(dic.values())
>>>dict_values())
dict_values("나서스","일라오이","다리우스","오리아나","베이가","야스오","세주아니","오공","아무무")

 

반응형

'IT > PYTHON(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홀로서기]03.함수  (0) 2023.06.21
[파이썬 홀로서기]02.조건문과 반복문  (0) 2023.06.07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